스크랩 개요
전기로 제강에 주로 투입되는 원료
스크랩 특징
리사이클
무한 재생이 가능한 순환자원
생산 ‣ 소비 ‣ 회수 ‣ 재생산의 무한 리싸이클링
전기전자 및 자동차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에 의해 가전제품, 자동차 재활용율 95% 목표(’15)
친환경
CO2· 폐기물 배출 감축
철스크랩을 활용한 低HMR(용선사용비율) 조업으로 이산화탄소 저감
철광석에 비해 이산화탄소 6O% 감소, 폐기물 배출은 80% 감소
자원
타 제철원료는 전량 수입, 철스크랩은 국내 공급
국내 자급률 상승 중이며, 철강 축적량 증가에 따라 '25년경 완전 자급 전망
철광석, 원료탄 가격상승 시 자원확보 측면에서 중요성 부각
지구 온난화 대처 수단으로 철스크랩 보호주의 현상 (중국, 수출세 40% 부과 중)
리사이클
무한 재생이 가능한 순환자원
생산 ‣ 소비 ‣ 회수 ‣ 재생산의 무한 리싸이클링
전기전자 및 자동차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에 의해 가전제품, 자동차 재활용율 95% 목표(’15)
친환경
CO2· 폐기물 배출 감축
철스크랩을 활용한 低HMR(용선사용비율) 조업으로 이산화탄소 저감 철광석에 비해 이산화탄소 6O% 감소, 폐기물 배출은 80% 감소
자원
타 제철원료는 전량 수입, 철스크랩은 국내 공급
국내 자급률 상승 중이며, 철강 축적량 증가에 따라 '25년경 완전 자급 전망 철광석, 원료탄 가격상승 시 자원확보 측면에서 중요성 부각 지구 온난화 대처 수단으로 철스크랩 보호주의 현상 (중국, 수출세 40%, 부과 중)
스크랩 분류

생철스크랩
(KA1)
두께≥3.0mm
길이≤1,000mm
너비≤500mm
- 열간압연판
- 고로 및 전기로 발섕 열연, 후판 및 펀칭, 강편
- 사용 전 도금 및 도색이 안 된 파이프
- 결속상태 양호한 선재, 코일의 철스크랩
- 절단 슬라브스크랩, 사이드 스크랩(Side Trimming 및 Side turning 후 발생하는 스크랩) 등
(KA2)
두께≥3.0mm
길이≤1,000mm
너비≤500mm
- 사용 전 직선철근, 단조 스크랩, 대형차량하우징, 대형차량 프레임
- 주철, 금형류, 폐주강, 복공판
- 사용된 Ø300mm 이상의 절개된 파이프
- 절개고압 가스통(LPG통 제외), 판재용접 구조물
- 폐선박, 중장비 해체물, 대형차량 및 기차 휠
- 볼트 및 너트(펀칭 스크랩), 스프링 및 체인
- 봉강류(원형강, 평강, 각강 등)
- 형강류(H, I, ㄱ, ㄷ, T 단, C형강은 제외)
- 베어링, 빌레트, 시트파일, 압착강관
- 철도관련(레일, 휠, 엑슬, 앵커, 숄더, 단조 또는 압연에 의한 레일 받침판 등) 등의 철스크랩
(KA3)
생철 모체를 압축한 것으로 가로, 세로,
높이가 긱각 600mm이하 (가로, 세로, 높이
각각의 허용오차가 10% 이내일 것)
(KA4)
생철 A 및 생철 B의 분류에 해당히되,
길이 1,000mm 너비 500mm를 초과하여 절단,
가공작업이 필요한 생철
노폐스크랩
(KBM)
길이≤1,000mrn
너비≤500mm
무게≤600kg
- 자동차 중장비에서 발생되는 모터블록에 한함
(KB1)
두께≥6.0mm
길이≤1,000mm
너비≤500mm
무게≤600kg
- 사용 전 직선 철근, 단조 스크랩, 대형 차량 하우징, 대형 차량 프레임, 폐주강, 사용된 Ø300mm 이상의 절개된 파이프
- 폐선박, 중장비 해체물, 대형차량 및 기차 휠, 복공판
- 절개 고압 가스통(LGP통 제외), 철판용접 구조물
- 볼트 및 너트(펀칭 스크랩), 스프링 및 체인, 주조품(주물, 금형강, 금형류 포함)
- 봉강류 철 스크랩(원형강, 평강, 각강 등), 빌레트, 시트파일
- 형강류(H, I, ㄱ, ㄷ, T 단, C 형강은 제외), 압착강관, 베어링
- 철도 관련(레일, 휠, 액슬, 앵커, 숄더, 단조 또는 압연에 의한 레일 받침판 등) 등의 철 스크랩
(KB2)
3.0mm≤두께 < 6.0mm
길이≤1,000mm
너비≤500mm
무게≤600kg
- 사용 후 철근, 철못(사용되지 않은 것)
- 소형ㅍ차량 하우징, 소형차 휠
- 폐 선박(중량A 이외의 것) 해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판(Plate)형태의 스크랩
- 절개된 LPG통, 절개 양호한 주철관류
- 사용된 Ø50~300mm의 절개된 파이프 및 서포트용 파이프, 파이프연결 브래킷
- 각종 기계 및 부품류 등의 철스크랩
(KB31)
중량 A의 분류에 해당하되
길이 1,000mm,
너비 500mm,
중량 600kg을 초과하여 절단 가공작업이 필요한 중량 A
(KB32)
중량 B의 분류에 해당하되
길이 1,000mm
너비 500mm
중량 600kg을 초과하여 절단가공작업이 필요한 중량 B
(KB4)
두께< 3.0mm
길이≤1,000mm
너비≤500mm
무게≤600kg
- 사용된 50mm 미만 파이프, 철못(기 사용한 것)
- C형강, 앵글, 칼라강판, 와이어로프
- 소형차량 프레임, 스틸 밴딩, 변압기 케이스
- 스틸 유로폼, 스틸 폼(Steel Form), 농기구
- 건축 폐자재류(창호, 도어 및 셔터, 철골, 창문 등)등의 철스크랩
(KB5)
길이≤1,000mm
너비≤500mm
무게≤600kg
- 노폐 샌드위치 판넬, 철제 장난감, 우산대
- 머플러, 석도강판, 팜석, 경량구조물, 철선, 철망, 카트리지류, 절개 드럼통, 자전거
- 생활용품 및 사무용 집기류
- 가전제품 케이스(전자레인지, 냉온장고, 세탁기 등)
- 사무용 집기(캐비닛, 철재 파일박스, 책상의자 등)
- 난방 기구류(난로, 해체 곤로 등)
- 생활에서 발생되는 철스크랩류(단, 식기류는 제외)등의 철스크랩
(KB6)
경량 A 및 경량 B의 분류에 해당하되 길이 1,000mm
너비 500mm
- 중량 600kg을 초과하여 정제, 가공작업이 필요한 경량
선반스크랩
(KC1)
기계 가공시 발생되는 넝쿨 및 Chip 형태의 스크랩, 두께≥1mm
(KC2)
주물품 선반 가공시 발생되는 스크랩
(KC3)
기계 가공시 발생되는 넝쿨 및 Chip 형태의 스크랩, 두께 < 1mm
가공스크랩
(KS1)
가로≤200mm
세로 및 높이≤100mm
- 생철을 모재로 하여 슈레더로 가공한 철스크랩
(KS2)
가로≤200mm
세로 및 높이≤100mm
- 비철을 함유하지 않도록 파쇄 및 정제한 폐차의 차피, 팬더, Clipping 등
(KS3)
경량 스크랩을 슈레더로 가공한 철스크랩
가로≤200mm
세로 및 높이≤100mm
(KG1)
소재 특성이 경량A 이상에 해당하며, 길로틴 시어로 절단 가공을 한 스크랩
폭≤1,200mm
절단길이≤700mm
- 철근말이 길로틴
(KG2)
소재 특성이 경량B에 해당하며, 길로틴 시어로 절단 가공을 한 스크랩
폭≤1,200mm 절단길이≤700mm
(KP1)
경량A 이상의 모재로 압축한 것 가로,
세로, 높이가 각각 600mm 이하 (가로, 세로, 높이
각각의 허용오차가 10% 이내일 것)
무게≤600kg
- 철근 압축
(KP2)
경량B를 모재로 압축한 것 가로, 세로, 높이가 각각 600mm 이하 (가로, 세로, 높이 각각의 허용오차가 10% 이내일 것)
무게≤600kg
(KP3)
선반B를 모재로 압축한 것 가로, 세로, 높이가 각각 600mm 이하 (가로, 세로, 높이 각각의 허용오차가 10% 이내일 것)
무게≤600kg
- 주철 압축
(KP4)
선반C를 모재로 압축한 것 가로,세로, 높이가 각각 600mm 이하(가로, 세로, 높이 각각의 허용오차가 10% 이내일 것)
무게≤600kg
- 칩 압축
(KP5)
캔을 모재로 압축한 것 가로, 세로, 높이가 각각 400mm 이상 800mm 이하 (가로, 세로, 높이 각각의 허용오차가 10% 이내일 것)
무게≤600kg